어린이 예방접종 보호자 가이드
1. 예방접종이란?
예방접종은 감염병으로부터 아이들을 보호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면역은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를 외부물질로 인식하여 제거하는 인체의 능력으로
감염질환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합니다.
면역을 획득하는 방법에 따라 능동면역과 수동면역으로 나뉩니다.
능동면역
능동면역은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자극하여 병원체에 대한 면역을 생성하는 것으로, 감염성 질환을 앓거나 예방접종을 통해 획득되며 대부분 영구적입니다.
수동면역
수동면역은 동물 또는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 항체를 투여하여 얻어지는 면역으로, 수동면역으로 감염이 어느 정도 예방되나 예방력은 일시적이고, 항체가 수주에서 수개월에 걸쳐서 소실됨에 따라 면역력이 없어지게 됩니다. 영아가 어머니로부터 받은 경태반(transplacental) 수동항체와 면역글로불린이 수동면역의 대표적인 경우입니다.
수동면역의 예방력은 일시적이기 때문에 예방접종으로 충분한 면역을 획득하여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예방접종의 일반원칙
예방접종을 통하여 가장 좋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다음의 일반원칙을 준수하도록 합니다.
- 표준예방접종 일정에 따라 권장시기에 예방접종을 받습니다.
- 모든 백신은 다른 백신과 동시접종이 가능합니다.
※다만,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약독화 생백신을 접종할 때에는 동기에 접종하거나,
동시접종을 하지 못할 경우에는 4주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여 접종을 해야 합니다.
-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백신은 백신 제조사와 관계없이 교차접종이 가능합니다.
※다음 백신은 면역원성과 안전성에 대한 충분한 자료가 없어 교차접종을 권고하지 않습니다.
> DTaP백신과 DTaP-IPV 혼합백신(단, 인판릭스와 인판릭스-IPV는 가능, DTaP-IPv(테트락심)와 DTaP-IPV/HiB(펜타심)은 교차접종 가능하나, HiB 단독백신 접종시기에 따라 불필요접종 및 이른접종이 될 수 있으므로 접종 전 반드시 스케줄 확인)
※ DTaP 또는 DTaP-IPV 기초접종 3회는 동일 제조사의 백신으로 접종
>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1가 백신(로타릭스)과 5가 백신(로타텍)
> 일본뇌염 불활성화 백신과 약독화 생백신간, 약독화 생백신 간의 교차접종
※ (불활성화 백신간) 쥐뇌조직 유래 불활성화 백신 2회 접종 후 베로세포 유래
불활성화 백신으로 교차 가능
> 폐렴구균 10가 백신(신플로릭스)과 13가 백신(프리베나 13주)
>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 백신2가(서바릭스)와 4가(가다실)
- 여러번 접종이 필요한 백신의 경우 다음 접종이 지연되어도 예방효과가 감소하지는 않지만, 권장하는 접종시기보다 이른 접종은 항체 생성이 저하되어 예방효과가 감소할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 일반적으로 추천되는 간격보다 지연되더라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거나 부가적인 접종을 할 필요는 없으며, 다음 접종 일정은 의사와 상의합니다.
> 이전 접종력을 모를 경우에는 감염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 수혈 또는 면역글로불린을 투여 받은 경우 일부 약독화 생백신에 대해 접종을 연기할 필요가 있으므로 접종 전 의사와 상의합니다.
3. 어린이 예방접종 종류
어린이에게 권장되는 예방접종 및 예방접종으로 예방 가능한 감염병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백신종류 및 방법 |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
국가예방접종 |
BCG(피내용) |
결핵 |
HepB |
B형간염 | |
DTaP |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 |
Td | ||
Tdap | ||
IPV |
폴리오 | |
DTaP-IPV |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폴리오 | |
DTaP-IPV/Hib |
디스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폴리오,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 |
MMR |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 |
VAR |
수두 | |
IJEV(불활성화 백신) |
일본뇌염 | |
LJEV(약독화생백신) | ||
PCV(단백결합) |
폐렴구균 | |
PPSV(다당질) | ||
Hib |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 |
HepA |
A형 간염 | |
IIV(불활성화 백신) |
인플루엔자 | |
HPV |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 | |
기타예방접종 |
BCG(경피용) |
결핵 |
RV |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
※국가예방접종은 국가에서 예방접종비용을 지원하는 접종으로, 보건소 및 지정의료기관에서 무료접종이 가능하며, 기타예방접종은 예방접종 비용을 지원하지 않는 접종입니다.
예방접종 단계별 주의사항
step 1. 예방접종 전에는
- 아이의 예방접종 기록, 아이가 좋아하는 장난감 등을 가지고 갑니다.
-주사로 겁주지 않으며, 정직하게 "따끔하지만 몇 초만 지나면 괜찮을 거야." 라고 말해줍니다.
- 예방접종에 대한 접종정보를 읽고, 자녀의 건강상태를 확인 후 접종기관에 비치되어 있는 '예방접종 예진표'를 작성합니다.
step 2. 예방접종 동안은
- 허벅지 위로 앉혀 안전하게 잡고, 관심을 딴 곳으로 돌려 안심시킵니다.
- 부드럽게 어루만지고, 미소 지으며, 눈을 맞추고 이야기해줍니다.
- 좋아하는 장난감 등을 쥐어주며 아이를 안심시킵니다.
- 아이가 숨을 깊게 들여 마셨다가 천천히 내쉬도록 합니다.
step 3. 예방접종 후에는
- 아이에게 이제는 다 끝났다고 안심시킵니다.
- 아이를 만져주거나, 안아주고, 젖을 먹는 경우 젖을 물립니다.
- 사랑스럽게 이야기를 나누고, 칭찬을 하면서 재미있게 놀아줍니다.
- 가능한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해 숙지합니다.
- 자녀의 다음접종일정을 의사선생님과 상의하여 정합니다.
※예진표 작성 시 다음 접종일자를 휴대전화로 문자수신 동의하면 다음 접종일 전에 알려드리니, 휴대전화번호가 정확히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step 4. 집에 돌아와서는
- 다음 예방접종일을 달력에 표시합니다.
- 며칠 동안 관찰하며, 이상이 발견되면 의사에게 알려 자문을 구합니다.
- 접종부위에 빨갛게 부어오르거나, 통증이 생기면 찬 물수건을 대줍니다.
- 아이가 다음날까지 잘 먹지 못한다면 수분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게 해줍니다.
예방접종 시 아이를 편안하게 잡는 방법
의료진이 안전하게 예방접종을 할 수 있도록 아이의 편안함, 안전성 등을 고려해서 다음 그림처럼 보호자가 아이를 안고 자세를 잡습니다.
영아 및 어린이
1. 보호자는 아이를 허벅지 위에 앉힙니다.
2. 아이의 한쪽 팔을 보호자의 등 쪽으로 나오게 하고, 부모의 한쪽팔로 아기의 상체를 감싸 안습니다.
3. 아이의 다른 팔은 보호자의 팔과 손으로 잡습니다.
4. 아이의 양쪽 다리는 보호자의 허벅지 사이에 끼고 보호자의 다른 팔로 지지합니다.
학동기 어린이
1. 아이를 보호자의 무릎에 앉게 하거나, 보호자가 앉은 채로 바로 앞에 아이를 서게 합니다.
2. 아이를 보호자의 팔과 손으로 감싸 안습니다.
3. 양쪽 다리는 보호자의 서벅지 사이에 끼고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합니다.
예방접종 금기사항 및 주의사항
예방접종 금기는 일반적으로 접종을 하지 않아야 하는 상황이며, 주의사항은 접종을 연기하거나 접종 시 주의가 필요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백신 접종의 영구적인 금기사항
- 백신 성분 또는 이전 접종 후에 심한 알레르기 반응 (아나필락시스)이 발생했던 경우
- 백일해 백신 투여 7일 이내에 다른 이유가 밝혀지지 않은 뇌증이 발생했던 경우
- 중증복합면역결핍 또는 장중첩증의 병력이 있는 경우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백신 금기
소아기의 백일해 함유 백신 접종의 영구적인 주의사항
- 접종 48시간 이내 40°C(105℉)의 발열
- 접종 48시간 이내 발생한 탈진 또는 쇼크와 같은 상태
- 접종 48시간 이내에 발생한 시간 이상 달래지지 않고 지속되는 울음
- 발열여부와 관계없이 접종 3일 이내 발생한 경련
약독화 생백신 접종의 일반적은 금기사항
- 면역저하
백신 접종의 일시적인 주의사항
- 중등도 또는 심한 급성기 질환의 환자는 모든 백신접종시 주의 필요
- 최근에 항체 함유제제를 투여받은 경우에는 MMR과 수두 함유 백신 등 주사용 생백신의 접종 일정에 주의 필요
예방접종 금기사항이 아닌 경우
일반적으로 다음 경우는 예방접종 금기사항이 아니므로 의사와 상의 후 접종하시기 바랍니다.
- 경한 급성 질환(미열, 감기, 상기도 감염, 중이염 및 경미한 설사)
- 항생제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 질환에 노출되거나 회복기에 있는 상태
- 가족중에 임신부 혹은 면역저하자가 있는 경우
- 미숙아 및 모유수유하는 영아
- 백신에 포함되지 않은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경우
- 면역 억제자와 관련 없는 이상반응, 경련, 영아돌연사증후군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영아돌연사증후군 예방수칙
영아돌연사증후군이란, 현장조사, 병력조사, 사후검사(부검) 등을 시행하여도 원인을 알 수 없는 12개월 이내 영아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말합니다.
영아돌연사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들
- 옆드리거나 옆으로 눕힌 수면자세
- 미숙아로 출생한 경우
- 생후 2개월~4개월 사이
- 과도한 보온
- 발열 질환을 앓은 후
- 가족과 침구류의 공유
- 추운 계절
- 부모의 흡연
영아돌연사 증후군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 4가지
1. 올바른 수면자세
- 천정을 바라보도록 똑바로 눕혀 재웁니다.
- 아기와 같은 방에서 자되 침대나 이불은 따로 사용합니다.
2. 올바른 침구사용
- 쿠션이 적은 매트나 요를 사용합니다.
- 얇은 바닥깔개는 주름 없이 펴서 매트나 요의 모서리에 고정시킵니다.
- 이불을 아이의 양쪽 겨드랑이에 끼워줍니다.
3. 쾌적한 환경
- 과도한 보온으로 땀이 나느 것을 피합니다.
- 어른 베개, 방석, 의복 등 아기가 놀면서 잡아당길 수 있는 물건들을 치웁니다.
4. 안전한 수유
- 모유수유는 아기의 감염 가능성을 낮춥니다.
- 수유 후 반드시 트림을 시키고 재웁니다.
- 아기에게 젖이나 젖병을 물린 채로 재우지 않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하트♥ 꾸욱 눌러주세요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랄프로렌 직구 하는법 (0) | 2018.07.07 |
---|---|
어린이 예방접종 보호자 가이드 Part. 2 (0) | 2018.07.06 |
임신, 수유 여성과 어린이 대상으로 생선 안전섭취 가이드 (0) | 2018.07.04 |
꼭 알아두어야 할 생활 꿀팁 20가지!! (0) | 2018.07.03 |
알아두면 도움되는 생활 꿀팁 20가지! (0) | 2018.07.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