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revenue_list_upper_## 결핵 바로알기!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결핵 바로알기!

by 미스타Lee 2018. 8. 4.
728x90
반응형

 

 

결핵에 대하여 바로 알기

 

결핵이란?

 - 결핵균의 전염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주로 폐에 발생하지만, 뇌, 척수, 임파선 등 인체의 모든 장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폐와 기관지, 후두의 결핵만의 전염성을 갖고 있으며 다른 장기의 결핵은 전염성이 없습니다.

 

 

결핵의 증상?

 - 기침, 혈담과 각혈, 흉부통증, 식욕부진, 피로와 미열, 체중감소

*발병 초기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결핵의 감염 경로?

 - 결핵환자 → 감염 → 발병 5%미만

                           ↘ 건강 95%

 

 - 균이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지면 발병하게 됩니다.

※ 환자가 사용하는 식기, 의류, 침구, 책, 가구 등과 같은 환자의 물건이나 음식을 통해서는 전염되지 않으므로 따로 식사를 하거나 소독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결핵의 진단과 치료

 - 진단 : 객담검사(현미경검사 및 배양검사)와 흉부방사선검사(X-선 검사)등을 통해 진단 할 수 있습니다.

 - 치료 :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입원치료를 할 필요가 없ㅅ브니다.

 

 

 

우리나라의 결핵환자 현황

 - 2006년에 새로 발견되어 보고 된 결핵환자 수는 35,361명으로, 인구 10만 명당 73.2명이고, 한 해 평균 결핵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3,000명입니다.

 

 - 우리나라 결핵 발생자 및 사망자 수는 OECD 가입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인구 10만명당 결핵 발병자 수

한국 : 96명

OECD평균 : 16.1명

 

인구 10만명당 결핵 사망자 수

한국 : 11명

OECD평균 : 2.0명                                                                              <자료 : WHO REPORT 2007>

 

 

 

 

 

우리나라의 결핵은 높은 발생률과 사망률이라는 특징 외에도 20~30대 젊은 층에 결핵환자가 많다는 것입니다. 이는 결핵 발생이 많은 국가의 특징적인 환자 분포의 모습으로 젊은 층은 노인결핵 환자에 비해 사회활동이 많기 때문에 자신의 병을 다른사람에게 전염시킬 가능성이 높을 뿐 아니라, 감염 후 당장 결핵으로 발병하지 않더라도 추후에 면역력이 약해지면 결핵으로 발병 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결핵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BCG접종 

 - 우형 결핵균을 아주 약하게 만들어 사람의 몸에 인공감염시킴으로써 결핵에 대한 면역력을 키워 주는 것이 BCG 접종입니다.

 - 소아 결핵은 영아나 어린이에게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BCG 접종은 생후 1개월 이내에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면역력이 약해지면

 - 결핵은 충분히 영양상태를 유지하며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자기 몸 관리를 잘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심한피로, 스트레스, 무리한 체중감량 등으로 인한 면역력 저하가 결핵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면역력이 감소하는 질병이 있거나 면역억제치료를 받고있는 환자는 의사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결핵환자가 가족에 있는 경우

 - 환자가 발견된 경우 다른 가족도 이미 감염이 되었을 수 있으므로 증상이 없더라도 의료기관을 방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6세 미만의 어린이는 (결핵검사를 받도록) 예방화학치료가 필요한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하트♥ 꾸욱 눌러주세요 :) 

 

728x90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 정복하기 Part. 1  (0) 2018.08.06
임신과 피임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0) 2018.08.05
당신의 전립선은 건강하십니까?  (0) 2018.08.03
당뇨병 관리, 이렇게 하세요!  (0) 2018.08.02
C형 간염이란?  (0) 2018.08.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