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경주에서도 진도가 꽤나 강력한 지진이 여러 차례 발생했었죠.
우리나라도 지진에 절대적으로 완벽한 곳은 아니라는 것이 증명되었습니다.
언제 어떻게 될 지 모르는 천재지변 지진!
어떻게 잘 준비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리 집 지진 대비 체크리스트
지진 대비 체크!
□ 옷장이나 그릇장, 냉장고 등을 넘어지지 않도록 고정하였습니다.
□ 텔레비전이나 꽃병 등을 높은 곳에 두지 않았습니다.
□ 창문, 그릇장의 유리가 깨졌을 때 흩어지지 않도록 투명필름이나 테이프를 붙여 두었습니다.
□ 집안에 흩어진 유리조각 등에 다치지 않도록 두꺼운 실내화를 준비해 두었습니다.
□ 가구 배치 등을 고려하여 안전한 공간을 확보해 두었습니다.
□ 불을 사용하는 장소 주위에 소화기를 마련해 두었습니다.□ 건물이나 담장 등 주변을 수시로 점검하고 위험한 부분을 안전하게 수리하였습니다.
□ 지진이 발생했을 때 대피 장소를 알아두었습니다.
□ 비상용품을 미리 준비해 두었습니다.
□ 물 □ 통조림 □ 라면
□ 연고 □ 감기약 □ 소화제
□ 라디오 □ 손전등 및 건전지 □ 비상금
□ 간단한 옷 □ 화장지, 물티슈 □ 라이터
지진 국민행동 요령
▶ 집안에 있을 경우
탁자 아래로 들어가 몸을 보호합니다.
흔들림이 멈추면 전기와 가스를 차단하고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한 후, 밖으로 나갑니다.
▶ 학교에 있을 경우
책상 아래로 들어가 책상 다리를 꼭 잡습니다.
흔들림이 멈추면 질서를 지키며 운동장으로 대피합니다.
▶ 극장 등에 있을 경우
흔들림이 멈출 때까지 가방 등 소지품으로 몸을 보호하면서 자리에 있다가,
안내에 따라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 건물 밖으로 나갈 경우
건물 밖으로 나갈 때에는 계단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이동합니다.
(엘리베이터 사용 금지)
▶ 건물 밖으로 나왔을 경우
건물 밖에서는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하며, 건물과 거리를 두고
주위를 살피며 대피합니다.
▶ 대피 장소에 도착한 후
운동장이나 공원 등 넓은 공간으로 대피하여 라디오나 공공기관의 안내 방송 등
올바른 정보에 따라 행동합니다.
▶ 산이나 바다에 있을 경우
산사태, 절벽 붕괴에 주의하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해안에서 지진해일 특보가 발령되면
높은 곳으로 이동합니다.
지진 궁금증 해결하기!
질문 1) 지진은 왜 일어날까요?
지진은 지구를 구성하는 판이 맨틀 위를 떠다니다가 서로 만나 부딪치면서 생긴 힘이
땅의 약한 부분을 통해 나올 때 땅의 변형이 발생하면서 일어납니다.
질문 2) 우리나라는 지진 안전지대인지?
우리나라는 판경계에서 약간 떨어진 유라시아판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 일본보다는 상대적으로
발생빈도가 낮으나, 조선왕조실록 등 옛날 문헌에 약 2,000회 지진발생 기록이 있고, 최근
지진발생 횟수는 증가추세로 지진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잠깐! 지진발생 횟수는 `15년 44회, `16년 252회, 최대 지진규모는 5.8입니다.
질문 3) 지진의 "규모"와 "진도"는 어떻게 다른가요?
규모(Magnitude)는 지진자체가 갖는 에너지의 크기이고, 진도(Intensity)는 어떤 장소에서
느끼는 지진의 세기를 사람의 느낌이나 주변물건 또는 구조물의 흔들림 정도로 표현한 것입니다.
진도 등급별 현황 (1~12)
▶진도 1 : 지진계에만 기록되는 수준.
▶진도 2 : 매다린 물체가 약하게 흔들림.
▶진도 3 : 트럭이 지나가는 것과 같은 진동.
▶진도 4 : 집안의 그릇, 창문이 심하게 흔들림.
▶진도 5 : 그릇, 창문이 깨지기도 함.
▶진도 6 : 무거운 가구가 움직일 수 있음.
▶진도 7 : 운전 중인 사람도 지진동을 느낌.
▶진도 8 : 기둥, 벽 등이 무너짐.
▶진도 9 : 모든 건물에 피해발생 가능.
▶진도 10 : 지표면이 심하게 갈라짐.
▶진도 11 : 다리가 무너지고 땅이 꺼짐.
▶진도 12 : 지표면에 파동이 보임. 물체가 공중으로 튀어나감.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하트♥ 꾸욱 눌러주세요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금연 지원센터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8.07.15 |
---|---|
술술 풀어가는 알코올 의존증 이야기 (0) | 2018.07.13 |
2018년 7월의 정책들을 알아보아요. (0) | 2018.07.11 |
좋은 아빠가 되는법 Part. 2 (0) | 2018.07.09 |
좋은 아빠가 되는법 Part. 1 (2) | 2018.07.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