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정복하기
당뇨병의 합병증
● 급성합병증 : 병력이 매우 중요하며 응급 처치가 필요하므로 환자 뿐 아니라 주위의 사람들도 이에 대한 상식이 필요합니다.
- 케톤산증 혼수 : 제1형 당뇨병에 흔하고 탈수, 구역질, 구토, 설사, 복통, 혼수 등이 옵니다.
- 고삼투압성 혼수 : 제2형 당뇨병에 흔하고 중풍이나 심한 감염시, 탈수, 경련, 일시적 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사망률 50%로 매우 위험합니다.
- 저혈당증 : 혈당강하제나 인슐린 치료시 혈당이 낮아질 때 나타나며, 배고픔,
떨리고 식은 땀이 나며 기운이 없습니다. 불안, 심장이 뛰고 손끝이 저리고 두통,
의식혼미가 오며 정신을 잃기도 합니다.
● 만성 합병증
전문과목에 따른 의사에게 정기적인 검진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 신장 : 신증과 심할 경우 요독증이 되며 말기 신부전증에서는 구토, 빈혈,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당뇨병을 5년 이상 앓으면 반드시 신장 합병증 여부를 검사해야 합니다.
- 눈 : 백내장, 망막병증, 녹내장 등이 있습니다.
- 심장, 대혈관 합병증 : 동맥경화증이 2~3배 많아지고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증,
뇌졸증(중풍)이 옵니다.
- 신경병증 : 다발성 말초신경증, 자율신경병증 등이 있으며 손발이 저리고 감각마비,
자율신경 마비, 선기능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 발 : 궤양 및 괴저, 혈류 감소 및 세균 감염으로 헐거나 썩어 들어갑니다.
당뇨병의 치료와 관리
당뇨병 치료의 궁극적인 목적은 혈당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도록 관리하면서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있습니다.
따라서 혈당을 정상적으로 유지 관리하는 기본은 식사요법과 운동요법이며 이 두 방법으로 잘 조절되지 않을 경우는 약물요법을 병행하게 됩니다.
● 식사요법
당뇨병 식사요법의 기본 목표
- 식사 후 증가되는 혈당의 조절
- 저혈당증 방지
- 표준체중 유지
- 지질 대사의 정상화
- 동맥경화증의 예방
원칙 : 알맞은 양을, 다양한 음식을, 골고루, 일정시간에 규칙적으로 식사합니다.
열량섭취
- 표준체중을 유지하도록 알맞은 열량을 섭취합니다.
- 표준체중(kg) = [키(cm)-100]X0.9
- 하루 총 열량(Cal)=표준체중 X 가벼운작업 25~30Cal/일
보통 작업 30~35Cal/일
힘든 작업 35~40Cal/일
식사구성
우리나라 사람의 일반적 식사에서 단백질 양을 약간 높여 주는 식사 구성(탄수화물 60%, 단백질 20%, 지방20%을 권장할 수 있습니다. 지방은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것으로, 콜레스테롤은 하루 300mg이하로, 섬유소는 하루 40g이상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열량배분 : 각 식사마다 고르게 배분하며 식사간격은 4~5시간으로 약물요법시는 작용시간에 맞게 열량 배분을 조정합니다.
기타 주의사항
- 금연
당뇨병 환자는 심장질환, 동맥경화증의 빈도가 매우 높고 혈액순환이 나빠져서 발가락 등에 괴저 등이 잘 생기므로 반드시 담배를 끊어야 합니다. 흡연하는 당뇨병 환자는 비흡연자보다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65% 더 높습니다.
- 혈압을 정상으로 유지합니다.
- 몸이 아플 때는 혈당이 급격히 정상 이하 혹은 이상으로 높아질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합니다.
- 감염예방 특히 피부, 방광 및 질, 잇몸에 염증이 잘 생기므로 청결을 유지하도록 힘씁니다.
- 안 질환의 발생 위험이 높으므로 1년에 한번은 안과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발을 매일 관리하여 감각이 없어지거나 세균감염, 괴저가 생기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순환이 잘 되도록 편한 신발을 신고 작은 상처의 치료도 소홀히 하지 마세요.
- 치료중 생길 수 있는 저혈당에 주의해야 합니다.
저혈당
피 속의 포도당 농도가 오히려 모자라는 상태로, 일정하지는 않으나 혈당의 60mg/dL 이하로 떨어졌을 때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저혈당은 매우 위험할 수 있으므로 빨리 치료를 해야 합니다.
● 저혈당의 원인
- 인슐린이나 혈당강하제의 과다 사용
- 식사를 거르거나, 적게하거나, 늦어질 때
- 설사 또는 구토
- 평소에 비해 운동량이 많은 경우
- 과도한 음주 또는 빈속에 음주
● 저혈당의 증상
- 공복감, 메스꺼움, 두통
- 현기증, 떨림, 피로감
- 현기증, 오한 또는 식은 땀
- 불안감, 안절부절
- 심장박동수 증가
- 입술 또는 혀 주위 무감각
- 아무런 이유없이 기분 또는 행동변화
● 저혈당의 치료
- 당분을 함유하고 있는 음료수나 음식물을 섭취함.
예) 콜라, 오렌지주스, 우유 각 1~2잔, 각설탕 혹은 사탕 2~3개를 물에 녹여 먹습니다.
- 혈당이 올라가는데 10~15분 걸리므로 20분이 되어도 저혈당 증상이 계속되면
반복하여 섭취합니다. 30분이 지나도 좋아지지 않으면 의사에게 가는 것이 좋습니다.
● 저혈당의 예방
약 복용시간, 식사시간을 잘 지키고 혈당 검사에 따라 약의 용량을 잘 조절해야 합니다.
긴급한 때를 위하여 항상 사탕, 비스킷을 휴대해야 합니다.
여행 시 주의사항
- 여행 지역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 건강기록, 당뇨병 표시 카드를 반드시 휴대합니다.
- 충분한 휴식을 취하며 여유 있는 여행을 합니다.
- 찬 음식이나 음료수는 가능하면 삼가합니다.
- 저혈당시 섭취할 간식을 항상 휴대합니다.
- 항상 잠자리에 들기 전 발에 대한 검사를 합니다.
- 가능하면 혈당측정기를 휴대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하트♥ 꾸욱 눌러주세요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멍 때리기의 효과? (0) | 2018.08.09 |
---|---|
비급여 진료비를 확인해 드립니다! (0) | 2018.08.08 |
당뇨병 정복하기 Part. 1 (0) | 2018.08.06 |
임신과 피임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0) | 2018.08.05 |
결핵 바로알기! (0) | 2018.08.04 |
댓글